경리 실무자의 엑셀

4. 경리 실무자의 엑셀 - 주민등록번호 관련 함수-2

엑셀하는 경리 2021. 5. 4. 10:49
728x90
반응형

 

 

저번에 이어서 오늘도 주민등록 관련 함수를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주민등록번호에서는 참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년월일

성별

나이

 

저번에 생년월일과 성별을 했으니

오늘은 나이입니다.

 

하지만 그전에 나이를 도출하기 위한 

날짜에 대한 함수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1. 오늘 날짜 함수

(today)


 

사실 날짜에 관련된 함수는 생각 이상으로 많습니다.

저는 직원명부를 작성할 때 근무일수도 같이 적어놓기 때문에

그것도 같이 다루려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다른 포스트로 날짜 관련 함수를 다루는 것이

좀 더 질 좋은 정보를 드릴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나이를 도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오늘 날짜를 출력하는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오늘 날짜 함수는 아주아주 쉽습니다.

 

=today()

 

이것으로 끝이며,

가로 안에 넣는 것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걸로 끝내기 아쉬우니

오늘 날짜를 구한 뒤에

날짜의 서식을 바꾸는 것도 같이 알려드리겠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셀 서식에 들어가면 많은 형식이 보입니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내용이 적혀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서식은 형식에서 찾아서 적용하는 것으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서식이 없다면?

그렇다면 사용자 지정에 들어가서 자신이 원하는 서식을 

제작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년은 YY

달은 mm

일은 dd

 

딱 봐도 영어에서 따온 게 보이시죠?

이렇게 년월일과 텍스트 기호인 "를 사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식을 만들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2. 나이 구하기.

(만 나이)


기본적으로 한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나이는

만 나이입니다. 

 

이 만 나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일단 datedif함수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datedif함수는 날짜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풀어서 설명을 드리자면

A라는 날짜와 B라는 날짜의 간극을 구하는데

그것을 년, 월, 일 등 원하는 방식으로 풀어 계산이 가능한 서식.

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네요.

 

datedif함수의 사용법은 매우 매우 매우 간단합니다.

그래서 저는 직원 명부 만들면서 외워버리게 될 정도였습니다.

 

dateif(시작하는 날짜, 끝나는 날짜, 추출하고자 하는 방법)

이렇게 서식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추출하고자 하는 방법이란

년수를 구할지 ( "Y" )

달수를 구할지 ( "M" )

일수를 구할지 ( "D" )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걸로 정말 만 나이 계산이 되는 건지

궁금하실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datedif함수는 뒤에 떨어지는 숫자를 절사.

삭제해버리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7년 2개월 26일이라는 숫자가 계산이 되었을 때

"Y"를 넣으면 2개월 26일을 삭제하고 7년이라는 숫자만 산출되며

"M"을 넣으면 26일이 삭제되어 (7년 X12개월)+2개월로 86개월이 산출.

"D"를 넣으면 7년 2개월을 일자로 환산하여 산출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1년이 지나야 나이를 계산하는 만 나이는

datedif함수로 간단하게 산출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주민번호를 가지고서 산출할 수 있는

많은 결과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첫 시간에는 생년월일과 성별에 대해서

두 번째 시간에는 만 나이에 대해서

설명해드렸습니다.

 

이 정도만 아셔도 충분히 직원 명부를 만드실수 있습니다.

저는 알려드린 함수들을 통해서

직원명부를 직접 만들어 관리 중입니다.ㅎㅎ

 

물론 직원 명부를 구매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비즈폼이나 예스폼에서 많이 있고요.

 

하지만 저는 이 정도 간단한 서식은

직접 만드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직접 만들면서 직원 정보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익숙해지고,

함수가 꼬이는 현상에서도

쉽게 정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