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리 고수가 되는 사이트/4대보험정보연계센터

4대보험정보연계센터 - 취득신고/상실신고

엑셀하는 경리 2022. 1. 28. 12:00
728x90
반응형


경리업무만 수년째하고 있습니다.
제가 다닌 회사는 첫 직장인 노무사무실을
시작하면 현재직장까지
총 4번째의 직장을 거친 셈입니다.

그러며서 4대보험 취득 상실을 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몸소 겪어 보게 되었는데요.

결국 정착한 방법이 있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처음 노무사무실에서 상실취득신고를 할때
연금과 건강, 고용/산재 이렇게 세곳개를
따로따로 신고했었습니다.

그게 회사 방침이었던 것인지
아니면 그 당시에 통합되어 있지 않아
그럴 수 밖에 없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 부분이네요.

그외에는 세무사무실에 맡긴 곳도 있고
KT의 EDI도 사용했었습니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가
취득상실하기 가장 좋은 곳같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저는 그곳에서만
사용하고 있구요.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에서
신고하는 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https://www.4insure.or.kr/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로 이동해주세요.

들어가셔서 로그인해주시면
상단 사업장 가입자 업무란에서
취득신고와 상실 신고가 있는게 보이실거예요.

오늘은 취득신고만 할테니
취득신고를 눌러주세요.


취득신고 방법


위 사진처럼
간단한 사업장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여러개의 사업장을 관리할 경우
이곳을 통해서 내가 신고하고자하는
사업장이 맞는지를 확인하시면 되겠죠?

그밑으로 내려면
가입하려는 직원의 인적사항을
적으면 되는 칸이 나옵니다.

그러면 주민번호, 성명, 취득일,
월소득액을 적어주세요.

그러면 가입자 정보 입력 완료입니다.

대부분의 직원분들은
입사일,소득이 보험별로 다를리가
없기에 공통으로 체크해주세요.

국민/건강보험의 체크란을 체크해주셔야
위에 적은 내용이 등록됩니다.

그리고 자격취득 부호를 넣어주세요.
별다른 사항이 없는 이상
자격취득 부호는
국민 : 1 (18세 이상 당연취득)
건강 : 00 (최초취득)
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고용보험을 작성해주시고
산재보험의 체크박스에
체크를 할경우에
고용보험의 내용이 그대로
내려옵니다.

직종의 경우 엇비슷하면
그냥 그 직종으로 넣으세요.
큰 문제가 되거나 그러지는 않거든요.

그리고 버튼을 누르면 끝!
아주 쉽지요?

저장을 하고 나면
이렇게 간단하게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때문에
너무 공들여서 체크하지 않으셔도 되요.
여기서 내용을 확인 수정하면 됩니다.

신고를 누르면 이렇게
접수증과 신고서를 출력하실수
있습니다.

접수증과 신고서를 출력하면
나중에 확인하실때 편하시니
출력하시는걸 추천드려요.



상실 신고 방법


상실 신고도
취득 신고를 진행하듯이
순차적으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자격상실일은
근로자가 더이상 근무하지 않는 날입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10/31일까지 근무후 퇴사를 했다면
이분의 상실일은 11/1이 됩니다.

퇴사날짜는 10/31이지만
상실날짜는 11/1이라고 생각하면
쉬우실 것 같아요.

혹시라도 이런 팝업이 떴다면
주민번호나 성함을 잘못 입력하셨는지
확인해보세요.

보수총액 신고할때 비과세를 제외한 금액을
재대로 입력해주시면
사실 상실신고도 쉬운편입니다.

산재보험은 고용보험과 연동되서
박스를 체크하면 바로 자동 등록되어
딱히 손댈것도 없구요.


이걸로 4대보험 취득상실신고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모두 쉬운 신고, 즐거운 하루 되세요~

반응형